2018.02 right버튼left버튼

일정내역#1

2018.02.01 ~ 3

일정내역#2

일정내역#3

일정내역#4

일정내역#5

학과교육과정
교과목소개
번호 교과목
1
전공기초 미분적분학 (Calculus)
일변수 함수의 미분, 적분 이론과 그 응용에 대하여 공부한다.
In this course, we study the derivatives and integral theories of functions(functions of one variable), the partial derivatives of functions of several variables, and their applications.
2
전공기초 물리학 1 (Physics 1)
통년과목의 전반부로 물리학 전반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시킨다. 주로 역학, 열물리, 파동현상을 다룬다.
First part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 basic concept of physics and physical thinking concentrating on mechanics, waves and thermodynamics.
3
전공기초 화학 1 (Chemistry 1)
화학 1은 이공학도로서의 기본 소양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하는 두 학기 짜리 화학 과목의 첫 번째 이다. 이 과목에서는 과학이나 공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라도 알아야 할 화학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사항을 배운다. 이 과목을 배운 학생은 생활 속의 여러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게 된다. 고등학교에서 공통과학을 배운 학생들이 수강 가능하다.
Introductory Chemistry I provides the basic concepts of chemistry with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This course is the first half of the two semester introductory chemistry courses. In this course, the descriptions of the nature are explained at the molecular level with the chemistry terms.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taken the general science class at high school.
4
전공기초 화학 2 (Chemistry 2)
화학 2는 이공학도로서의 기본 소양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선수과목 : 화학 1) 이 과목에서는 과학이나 공학을 전공하고자 하 는 학생이라면 누구라도 알아야 할 화학 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사항을 배운다. 이 과목을 배운 학생은 생활 속의 여러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게 된다. 고등학교에서 공통과학을 배운 학생들이 수강 가능하다.
Introductory Chemistry II provides the basic concepts of chemistry with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This course is the second half of the two semester introductory chemistry courses. In this course, the descriptions of the nature are explained at the molecular level with the chemistry terms.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taken the general science class at high school.
5
전공기초 공학프로그래밍입문 (Introduction to Engineering Computer Programming)
공학에 관련된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의 사용법, 데이터 분석 및 도표화, 수치해석을 위한 기본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등을 배운다.
This class provides the fundamental techniques to use the computer, the methods for the engineering data analysis and plotting, and the basic concepts of computer programming language for numerical analysis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in engineering fields.
6
전공기초 공학수학 1 (Engineering Mathematics 1)
본 강좌는 상미분방정식의 해, 연립 미분방정식의 해, 미분방정식의 급수 해,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한 미분방정식의 풀이를 소개하고, 벡터와 행렬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제공한다.
This course will introduce methods of analytical solution fo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ODEs) and systems of ODEs, power series method, and Laplace transformation, and provide basic concepts of vector calculus and matrix.
7
전공기초 물리학 2 (Physics 2)
통년과목의 후반부로 물리학 전반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시킨다. 주로 전자기, 광학, 현대물리를 다룬다.
Second part of learning and understanding basic concept of physics and physical thinking concentrating on electromagnetism, optics and modern physics.
8
전공기초 미분적분학 (Calculus)
일변수 함수의 미분, 적분 이론과 그 응용에 대하여 공부한다.
In this course, we study the derivatives and integral theories of functions(functions of one variable), the partial derivatives of functions of several variables, and their applications.
9
연구연수활동(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Internship in Research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for Information & Electronics))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의 연구실에서 각종 실험실습 및 프로젝트 참여 등을 통해 전공지식을 응용한다.
This course gives a chance to apply theoretical knowledges in a field.
10
전공선택 디스플레이재료 (Display materials)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기 무기 재료들의 전기 및 광학적 특성들을 다룬다.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used for display devices are discussed.
11
전공선택 세라믹재료 (Ceramic Materials)
정보전자재료 분야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세라믹 재료의 구조, 물성, 상변화 특성, 공정 원리, 재료 설계 방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세라믹 재료의 구조와 물성간의 상관관계와 재료의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다. 또한 강의에서는 세라믹 재료를 이 용한 전자소자 및 디스플레이 분야의 실제 응용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Ceramic materials have proven increasingly important to modern technology with many engineering applications incls hng advanced electronics. This course introduces and discusses the structure, material properties, processing principles, and material design concepts of ceramics. In this course, practical applications of ceramic materials, especially in electronics, will also be intensively discussed.
12
전공선택 재료열역학 (Thermodynamics of materials)
열역학적 관점에서 재료들을 이해하는 기본 이론을 배운다. 고체 재료들의 다양한 상평형을 엔탈피, 엔트로피 그리고 기브스 프리 에너지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응용 분야에 적용되는 현상을 이해한다.
Basic thermodynamic theory of various materials are studied. Thermodynamic phase equilibrium of solid materials are reviewed in relation with enthalpy, entropy and gibb's free energy and the application of these materials are covered.
13
전공선택 고분자재료 (Polymer materials)
다양한 고분자 재료의 기초적인 합성방법, 구조와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소개하고 기계적 거동에 대해 논하며 특성 분석 방법 등을 다룬다.
This course deals with a basic knowledge of polymer structure and property relationship, fundamental concept of polym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methods, and mechanical properties.
14
전공선택 응용물리 (Applied Physics)
물질을 이루고 있는 원자, 분자와 물질의 상변화, 열전달, 열역학 등의 재료 관련 화학의 기초 분야와 일반물리의 역학 부분을 제외 한 분야인 소리, 전기, 파동, 빛, 그리고 양자 등의 물리 개념을 수학을 사용하지 않고 개념 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강의하여, 고학년 재료공학 전공과목들을 이수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재료화학과 물리의 개념을 확립하고자 한다.
The core concept of general chemistry, such as atoms, molecules, phases, heat, and thermodynamics, and parts of general physics except mechanics, such as sounds, electricity, waves, light, and quantum, are studied conceptually without using mathematics for junior students of materials engineering majors.
15
전공선택 재료양자물리 (Quantum physics for materials)
정보전자재료의 물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재료의 원자적, 분자적 성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빛의 입자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물질의 파동성, 파속도와 군속도, 입자의 회 절, 불확정성원리 등의 현대물리의 기본을 강의한다. 고체를 이루는 기본단위 인 원자의 구조에 대하여 고전적인 측면과 현대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 양자역학을 도입하여 슈레딩거의 식을 풀어 얻어지는 원자구조를 설명한다.
This class will discuss the modern physics by introducing particle, wave properties, and duality of the photon to understand basic atomic and molecular properties of materials for grasping the information and electronic materials. Using classing physics and modern physics, we will discuss the structure of atoms which is basic unit consisting the solids. In addition, the atomic structure will be explained by solving Schrodinger equation at several conditions by introducing quantum physics.
16
전공선택 공학수학 2 (Engineering Mathematics 2)
본 강좌는 라플라스 전환과 벡터미적분학을 다룬다.
This course deals with Laplace transformations and vector calculus.
17
전공선택 유기전자재료 (Organic Electronic Materials)
전자・정보 산업에 사용되는 유기/고분자 소재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들을 소개하고 그 화학적 구조-물성의 관계를 컴퓨터 모사를 통하여 실습한다.
An introductory course to organic/polymeric materials for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with computer- aided practice on their chemical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18
전공선택 반도체재료 ( Semiconductors Materials and Physics)
이 강좌에서는 반도체 재료의 기본 원리에서 시작하여 실리콘 기판 제작, 사진 식각, 평탄화, 산화, 증착, 박막형성, 세정, 패키징 등 반도체 전 공정의 미세 화학적 및 공학적 과정과 관련하여 배운다.
This class teaches the fundamentals of semiconductor materials and the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wafer cleaning, photolithography, planarization, oxidation, film formation and packaging.
19
전공선택 박막공학 ( Thin film Engineering)
본 강의에서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박막 기술을 위한 강의한다. 특히 진공 기술을 기반으로 박막 기술의 핵심 요소인 물리기상증착법, 화학기상증착법, 원자증착법과 응용분야를 소개한다. 또한 여러 가지 변수에 따른 박막의 성장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구조적, 조성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박막 분석 기술을 강의한다.
This class introduce thin film technologies for fabrication of displays and semiconductor devices. Based on the vacuum technology, the physical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atomic layer deposition will be introduced. In addition, we deal with the thin film formation mechanism according to various deposition parameters. Futhermore, this class introduce the several kinds of thin film analysis methods to investigate electrical, optical, structural and composition properties of thin films.
20
전공전택 분광분석 (Spectroscopic Analysis)
빛을 이용하여 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구조를 조사하는 UV/Visible, infrared, Raman, NMR, x-ray spectroscopy 등의 기기분석 기본 원리와 응용에 대하여 학습하고자 한다. 유.무기 및 고분자 물질의 조성과 구조에 관한 분자 상태에서의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분광학 기기들의 이용은 필수적인데,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재료의 구조와 특성 사이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이 재료공 학 전공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We stud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spectroscopic analysis, such as UV/Visible, infrared, Raman, NMR, and x-ray spectroscopy, which uses light to elucidate molecular structures of materials. The spectroscopic analysis methods is an inevitable technique to elucidate molecular structures of organic, inorganic, and polymeric materials, and is a necessary course for students majoring in materials engineering.
21
전공선택 결정구조학 (Crystallography)
기초적인 엑스선회절 이론을 이용하여 금속, 세라믹, 고분자 및 섬유의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정구조, 결정화도, 결정의 크기, 배향도를 구하는 방법론을 다룬다.
This course deals with X-ray production, crystallography, determination of crystal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metals, ceramics, polymers and fibers by wide-angle X-ray diffraction, and the theory of small-angle X-ray scattering.
22
전공선택 반도체전자재료기기분석 (Semiconductor Instrumental Analysis of Electronic Materials)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분석원리 및 실험을 강의한다. 분석실험에는 분자량측정실험, 열분석실험, 분광학적 구 조분석실험, 현미경적 미세구조 분석실험 등을 실시한다.
The basic principles of materials characterization will be offered in this course. Various analytical instruments will be employed to characterize properties of polymers such as molecular weight, thermal properties, optical proper ties, and crystal morphology.
23
전공선택 고분자화학 (Polymer chemistry)
기본적인 고분자 개론에서 발전하여 단량체로부터 고분자를 제조하는데 따른 중합반응기구, 중합속도론, 분자량 및 분자량분포 등 에 우선 배우며, 축합 반응, 라디칼 반응, 이온 반응 이외에도 고급 고분자 합성 이론을 배운다.
This course deals with polymerization mechanism and kinetics and the basic theories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Advanced chemical theory beyond condensation, radical and ionic polymerizations are covered.
24
전공선택 고분자물리 (Polymer Physics)
고분자의 구조와 성질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고분자 사슬 및 결정의 구조와 분석 방법, 그리고 고분자 특성을 측정하 는 방법 및 다양한 응용 범위를 학습하고자 한다. 고분자 용액 상에서의 용해도, 고분자 사슬의 크기 및 성질, 고체 및 결정상에서 나타나는 고분자의 구조 형태 및 형성 원리, 그리고 고분자 사슬의 구조와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방법들에 대하여 공부하며, 구조에 따른 물리적 및 기계적인 성질의 변화와 이를 실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원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Polymer physics which deals with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mers is a basic course of polymer science and basic knowledge for understanding various applications of polym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mers, we study size and structure of polymer chains in solutions, chain structure and formation mechanisms of polymer crystals, and experimental methods for measuring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mer chains.
25
전공선택 전자기학 (Electromagnetics)
정전기장, 전자기장 등의 관찰이론을 소개하고 물질에서의 전자기 이론을 배운다.
Electrostatics and magnetostatics are taught. Electromagnetism in materials are also covered.
26
전공선택 전자세라믹스 (Electronic Ceramics)
정보전자 분야에 응용되는 다양한 조성의 세라믹 소재의 전기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강의에서는 산화물 세라믹 소재의 결함화 학을 중심으로 벌크 및 박막 소재의 전도기구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센서, 커패시터, 열전소자, 페라이트 등 전자 세라믹스 응용분야를 망라하여 해당 소자의 동작 원리와 특징에 대해 이해한다. 이를 통해 전자세라믹스 소재의 물성 및 거동, 설계 방법을 학습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overall electronic properties of ceramic materials. In this course, the defect chemistry of oxide electronic ceramics will be intensively discussed. In addition, operation principles and technical features of various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sensor, capacitor, thermoelectric device, ferrite, of electronic ceramics will be introduced.
27
전공선택 반도체디스플레이공정 (Semiconductor and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본 강의에서는 실리콘 기반의 최신 반도체 전자소자 및 디스플레이 소자의 공정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미세 소자 제작의 기본 기술 인 세정, 포토리소그래피, 산화, 확산, 이온주입, 박막형성, 배선, 패키징 등 공정 기술의 기본 원리와 수행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이해한다. 또한, 급변하는 미세전자소자 분야의 최신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In this course, the basic microelectronics process technologies common to most silicon-based integrated circuits and display backplane devices will be intensively introduced. We will discuss the physical principles and practical methodologies of microelectronics fabrications to understand the application fields for the semiconductor and display-related devices. Furthermore, this class provides a technical base for understanding more advanced processing and device design works.
28
전공선택 에너지소재 (Energy Materials)
태양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 등의 에너지 기술개발에 필요한 유/무기 신소재의 종류, 특성, 및 분석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characteristics and analytical methods of organic/inorganic materials used for development of energy technologies such as solar cells, fuel cells, and secondary batteries.
29
전공선택 하이브리드재료 (Hybrid Materials)
다성분계를 이루는 구성성분의 종류 및 그들의 분산 상태에 따라 (1) 고분자 블렌드, (2) 고분자 복합재료, (3) 나노복합재료, (4)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로 구분된다. 본 강좌에서는 이들 다성분계로 구성된 하이브리드재료의 혼성화 방법 및 각 재료의 구조-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강의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multi-component systems in which polymeric materials are involved. Polymeric multi-component systems may be classified as (1) polymer blends, (2) polymer composites, (3) nanocomposites, and (4)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materials and their dispersion states. Topics in hybridization methods of these multi-component systems and their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will be discussed.
30
전공선택 고분자공학 (Polymer engineering)
고급 고분자 화학, 물리, 물리화학, 역학 및 유변학 등 고분자 분야의 심화된 내용을 기본적으로 배우며, 복합 재료, 나노 분자 공학 등 재료 분야의 수준 높은 주제를 다룬다.
Advanced topics of polymer science such as chemistry, physics, physical chemistry, mechanics and rheology are covered and in-depth study of the current hot issues such as the hybrid materials and nano molecular materials is carried out.
31
전공선택 첨단금속재료공학 (Advanced Metallurgical Engineering )
본 강의에서는 철강, 자동차, 중공업의 기반이 되는 첨단 금속재료의 구조, 물성, 제조방법, 상변화 특성, 열처리 기술에 대해 학습한 다. 다양한 금속재료의 제조과정, 구조와 성질의 상관성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바탕으로 각종 철강재료 및 비철 금속재료의 특징적 인 물성과 그 활용 분야를 강의한다. 또한 금속 재료의 소성변형, 전위론, 공공, 확산론에 대한 기초지식을 강의 한다. 본 강의에서는 또한 차세대 신소재로 다양한 금속재료의 응용과 첨단 금속 재료의 개발 방향을 소개한다.
This course focuses on the microstructure, properties, fabrication process, phase transformation, and heat treatment for advanced metals. Based on basic concept for smelting and manufacture of steel and relationship between metal structure and properties, we will discussed the properties and various application of steel and non-ferrous metals. In addition, we will discuss plastic/elastic deformation of metal, dislocation theory, vacancies, diffusion of metals. Finally, as a next generation materials, new applications of metal and non-ferrous metals will be intensively discussed.
32
전공선택 정보전자신소재특강 (Special Topics in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for Information and Electronics)
현재 응용 중이거나 차세대 개발을 위한 정보전자신소재 분야 제품 가운데 흥미가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제품의 기본원리, 제조공 정, 응용범위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공부하여 발표하고, 정보전자신소재 분야 세미나에 참석하여 최근의 주요 연구나 산업계의 동향 을 파악하여 정보전자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Students study a topic on advanced materials currently used or developed in information and electronics industries, and present the research result on principles, processing, and applications. Students also attend a number of seminars that deal with the current hot issues in advanced materials researches in information and electronics areas.
33
전공선택 정보전자신소재논문연구 (Internship in Research in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for Information & Electronics)
연구실에서 각종 실험실습 및 프로젝트 참여 등을 통해 전공지식을 응용한다.
This Course gives a chance for students to participate the research works in Laboratory.
34
전공필수 기초신소재 및 실험 (Basic experiment for materials : Electrical properties)
아날로그/디지털 회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아날로그/디지털 회로의 논리연산, 집적 회로의 특성, 디스플레이 구동 소자 의 작동 원리 등을 이해하며 이를 이용해 전자재료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This class deals with the basic concept of digital logic,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operation devices properties. These concepts can be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lectronic materials properties.
35
전공필수 재료과학 (Material science)
금속, 세라믹, 고분자로 분류되는 주요 재료들의 기본 구조, 명명법, 물성, 분석 방법을 배우고 물질의 상태를 열역학적/속도론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이론을 익힌다.
Basic understanding of three major materials(metals, ceramics, polymers) is covered through the study of fundamental structures, nomenclature, phys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zation, thermodynamic and kinetic phase equilibrium.
36
전공필수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열역학을 중심으로 기체상태방정식, 화학평형, 용액성질, 상평형, 전기화학 및 반응속도론을 다루며 재료의 열역학적, 속도론적 평 형에 대해 배운다.
The concept of thermodynamics, equations of state for gas, laws of thermodynamics, chemical equilibrium, solution properties, phase equilibrium, electrochemistry, and chemical kinetics are dealt with. The class includes the discussion about the thermodynamic and kinetic equilibrium of various materials.
37
전공필수 유기화학 (organic chemistry)
유기화학의 기초적인 지식을 다루고, 특히 간단한 유기화합물의 구조, 반응 및 명명법을 주된 내용으로 하며, 자연과학에 관련된 모든 학문 분야에 적용되어지는 기본반응의 응용측면을 강조한다.
Methods of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cal compounds on the basis of general chemistry including the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Basic principles of organic synthesis and their applications will be introduced.
38
전공필수 중급신소재 및 실험 (Intermediate experiment for materials :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이해하며, 각종 평가 방법의 원리 및 측정을 통하여 재료를 평가하다.
This course deals with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their evaluation tools for advanced materials. Their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re also evaluated.
39
전공필수 정보전자신소재종합설계 2 (Capstone Design for Advanced Materials 2)
본 강의는 그 동안 습득한 전공이론을 바탕으로 “과제기획-과제수행-결과분석” 등의 팀 활동을 통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능 력/협업능력/실무능력을 배양하고, 나아가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종합설계 과목이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work with interdisciplinary challenges in the fields of Advanced Materials. Students work in teams to design, build, and test prototypes with real applications. They learn and apply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defining functional requirements, conceptualization, analysis, identifying risks and countermeasures, selection, and physical prototyping. By working in teams they develop leadership skills and group dynamics; dealing with scheduling conflicts, meeting weekly deliverables and deadlines; and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and course instructors.
40
정보저장소재 (Materials for Information Storage)
본 강의에서는 먼저 정보전자 분야의 핵심 소재 기술 중 하나인 정보저장 소재의 전기적 물성에 대해 자세하게 학습한다. 이를 기반 으로 강의 후반부에서는 정보의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메모리 소자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전도체, 반도체, 유전체, 상변 화 소재, 자성체 등 메모리 소자에 응용되는 각종 소재의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정보전자 재료의 대표적인 응용분야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최신 기술을 학습한다.
This course is composed of two main bodies. In the first half, the basic electronic properties of materials will be intensively discussed in a viewpoint of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second half, memory technologies will be discussed based on various electronic and physical natures of materials, such as conducting, semiconducting, dielectric, phase-transformation, and magnetic properties. This course provides both a scientific base and a practical techniques of electronic materials.
41
연구연수활동 및 종합설계 (Internship in Research and Capstone design)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의 연구실에서 전공지식을 응용하여 재료 및 소자를 기획, 설계, 제작한다.
Projects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the materials and devices are carried out.